티스토리 뷰



오늘은 야간수당 계산, 야근수당 계산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 업무시간을 초과해서 일을 하게 되면

추가수당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야간수당 개념과 계산법에 모르시는분들을

위해 야근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야간수당이란 야간근로수당으로

야근수당이라고도 불립니다.

시간대로보면 저녁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일한 근로시간에 대한

추가 지급 수당을 말합니다.



이러한 야근수당 계산법은 간단합니다.

위 시간대에 추가로 근무를 하셨다면

평소에 받으시는 시급의 1.5배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즉, 평소 시급에 1.5를 곱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평소 시급을 8천원 받았었다면

밤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일한 시간에 대해서는 [8000*1.5]로 계산해서

1만2천원을 시급으로 받으실 수 있는겁니다.



위에 말씀드린 야간수당 계산 공식은

근로기준법에 나와있는 것으로

근로자의 당당한 권리입니다.

모르시고 혜택을 못받으신분들은

고용주에게 당당하게 요구하실 수 있습니다.

단, 여기에는 조건이 있는데 5인 이상의

직원이 있는 사업장만 해당합니다.

즉, 직원이 4명 이하면 제외대상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의하면 연장, 야간,

휴일근로 수당에는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해서 지급해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즉, 평소 받는 돈의 1.5배를 받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근로기준법으로 해석해보면

야간근무로 인한 야근수당뿐만 아니라

휴일근무나 연장근무도 모두 50%를

추가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시급형태의 아르바이트의 경우

야근수당 계산이 편한데요

만약 월급을 받는 근로자라면

어떻게 계산해야하는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급여명세서에 나와있는 기본급을

209로 나누시면 자신의 시급이 나옵니다.

거기에 1.5를 곱하기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야간수당 계산 방법과

야간수당 개념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잘 알아두셨다가 근로자의 권리를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