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한글 맞춤법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바로 되 돼 구분 차이와 되다 돼다 차이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한글은 세계적으로도

그 우수성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맞춤법을 틀리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한글은 어렸을때 다 떼셨겠지만

나이를 먹어도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있죠

그 중 하나가 바로 "되"와 "돼"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오늘은 이 되 돼 구분과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대로 알고 앞으로는 틀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네이버 어학사전에 찾아보면

이 되 돼 구분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있는데요

어간이 어떻고 어미가 어떻고

너무 어렵게 설명되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습니다.



되 돼 구분은 위와 같습니다.

동사 "되다"의 경우 혼자 못씁니다.

즉 "되-" 뒤에 어미가 "-어"를 붙여

"되어"로 같이 쓰거나 "되어"를 줄여서

"돼" 형태로 써야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면 돼", "하나가 되어 -"

이런식으로 말을 끝낼때는 돼로 쓰고

어미가 붙어서 말이 이어질 때는

"되-"를 씁니다.



그럼 되다와 돼다의 차이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되다 돼다 치이가 따로 있는건 아닙니다.

[되어, 되어라, 되었] 이러한 말들이

[돼, 돼라, 됐]과 같이 돼-형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제가 글을 쓸때 되 돼 구분해서

쓰기 쉬운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바로 "되"와 "돼"를 "하"와 "해"로 바꿔보는 겁니다.

즉, 되 -> 하, 돼 -> 해로 바꿔서 말해봐서

자연스러운 단어를 쓰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이러면 안돼"라는 문장이 있다고하면

안돼가 맞는지 안되가 맞는지

하와 해로 바꿔서 말해보면

안하, 안해 이런식으로 만들어볼 수 있죠

후자인 안해가 더 자연스럽죠

따라서 여기서는 돼가 맞습니다.

이런식으로 생각해보시면 쉽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가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

이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되 돼 구분 차이와

되다 돼다 차이 등 맞춤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